대기업, 금융권 등의 계속되는 인력 구조조정과 불경기의
장기화 등의 영향으로 정리해고, 퇴사 압박 등 고용상태에 불안감을 느끼는 직장인들이 많을 것이다. 실제로 직장인 10명 중 8명은
직장에서 퇴출 압박을 받은 적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신문, 인터넷, 모바일로 구인구직정보를 제공하는 벼룩시장구인구직(대표이사 최인녕, job.findall.co.kr)이 직장인 751명을 대상으로 직장에서 ‘퇴사 압박을 받은 적이 있습니까?’라고 설문한 결과, 과반수를 훨씬 웃도는 82.8%가 ‘있다’고
답했다.
퇴사 압박을 받고 있다고
느낀 이유로는 25.2%가 ‘평소보다 과도한 업무지시’를 꼽았다. 다음으로 ‘업무와
관련 없는 타 부서로의 발령’(20.4%), ‘승진누락, 연봉삭감
등 인사 불이익’(19.2%), ‘담당업무에서 철저히 배제’(14%),
‘회식 등 단체활동 제외 등 은근한 왕따’(13%), ‘인사팀, 상사와의 잦은 면담’(8.2%) 등이 있었다.
퇴사 압박을 받은 직급은 ‘사원급’(29.6%), ‘대리급’(24.4%), ‘과장급’(22.6%), ‘부장급 이상의 임원’(12.4%), ‘차장급’(11%)의 순으로 구조조정의 1순위가 40대~50대 중장년층 이었던 예전과는 달리 최근에는 20대~30대의 젊은 사원급 직원까지 퇴사 압박을 받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퇴사 압박의 받은 이유로는 ‘회사가 재정적으로 어려워져서’(32.4%)를 가장 많이 선택했고, ‘조직개편으로 부서가 통·폐합, 축소 되어서’(24%), ‘개인성과, 실적이 좋지 않아서(20.2%), ‘상사나 동료와의 불화로 사이가
좋지 않아서’(14.8%), ‘회사에 반하는 행동을 해서’(7%), ‘지각, 결근 등 근태가 좋지 않아서’(1.6%)의 답변이 뒤를 이었다.
퇴사 압박을 받았을 때 대부분의 직장인들은 ‘회사 입장도
어느 정도 이해하지만 억울했다’(59.4%)고 답했으며 ‘퇴사
압박의 상황을 전혀 납득할 수 없었다’고 답한 직장인도 34.8%에
달했다.
그렇다면 퇴사 압박을 받은 후 직장인들은 어떻게 대응 했을까? ‘몇
달 정도 버티다 퇴사했다’(43.8%)는 응답이 가장 높았고 ‘별
다른 대응을 하지 않고 그냥 버텼다’가 28.8%로 그 뒤를
이었다. 압박을 견디지 못하고 바로 퇴사했다는 응답도 24.2%나
되었다.
퇴사 압박을 받고 퇴사를 한 이유는 48%가 ‘퇴사에 더 이상 남아야 할 이유가 없어서’라고 답했으며 퇴사 압박을
받고 퇴사를 하지 않은 이유로는 31%가 ‘내가 잘못한 것이
없어서’라고 응답했다.
한편 10명 중 7명은
‘평소 회사로부터 퇴출당할 수 있다는 불안감을 느끼며 회사생활을 한다’(69.4%)고
답해 씁쓸함을 더했다.
기본적 인권 침해의 우려가 있는 민감한 개인정보(인종 및 민족, 사상 및 신조, 출신지 및 본적지, 정치적 성향 및 범죄기록, 건강상태 및 성생활 등)는 수집하지 않습니다.
회사는 이용자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수시로 찾아내는 '쿠키(cookie)'를 사용하지 않습니다.
수집한 개인정보의 이용목적이 달성된 후에는 보관기간 및 이용기간에 따라 해당 정보를 지체 없이 파기합니다. 파기절차 및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 파기절차 : 귀하의 개인정보는 목적이 달성된 후 내부 방침 및 기타 관련 법령에 의한 정보보호 사유에 따라 수집 또는 제공받은 목적 달성 후 파기되어 집니다. 개인정보는 법률에 의한 경우가 아니고서는 보유 되어지는 이외의 다른 목적으로 이용되지 않습니다.
- 파기방법 : 서면으로 존재하는 개인정보는 분쇄기로 분쇄 또는 소각하거나 화약약품 처리를 하여 용해하여 파기하고, 전자적 파일 형태로 저장된 개인정보는 기록을 재생할 수 없는 기술적 방법을 사용하여 삭제합니다.
개인정보를 처리함에 있어 개인정보가 분실∙도난∙유출∙변조∙훼손되지 않도록 안전성 확보 조치 행위를 하고 있으며, 개인정보보호의 최선을 다하고 있습니다.
현 개인정보취급방침은 2011년 9 월에 제정된 개인정보보호법에 근거하며 이후 정부의 정책 또는 보안기술의 변경, 내용의 추가•삭제 및 수정이 있을 시에는 개정 최소 10 일 전부터 미디어윌 홈페이지의 통해 고지할 것입니다.
※ 본 방침은 : 2012 년 10 월 1일부터 시행됩니다.
개인정보보호 관련 민원을 개인정보관리책임자 혹은 담당부서로 신고하실 수 있습니다. 회사는 이용자들의 신고사항에 대해 신속하게 충분한 답변을 드릴 것입니다.
기타 개인정보침해에 대한 신고나 상담이 필요하신 경우에는 아래 기관에 문의하시기 바랍니다.